전령수. 21세기북스. 2024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
인구 통계, 세대 분석 사회경제학자
인구 변화는 한국 사회가 맞이할 최후의 큰 호재
인구 유지선은 출산률 2.1명
한국 출산률 0.72명
선진국 출산률 1.6명
세계 최초의 기록
피터 자이한 “붕괴하는 세계와 인구학” (2023)에서 한국은 저출산 때문에 폭삭 무너진다.
전쟁, 질병, 기근보다 더 파괴적이다
한국 미래 두 가지
1. 인구 보너스 -> 인재 보너스의 혁신적인 도약
2. 선진국 -> 개도국 전락
1부 인구 감소는 왜 기회인가?
예정된 미래, 축소 시장
인구가 감소하면 정말 망할까?
일본의 인구 감소 -> 장기 불황
5030 클럽
= 인구 5천만명 국민소득 3만달러
= 세계 10위권, 한국은 2019년 7번째 가입
5050 클럽
= 인구 5천만명 국민소득 5만달러
= 아직 미국뿐
일본의 장기 불황은 인구 때문만은 아님
정책 무능, 폐쇄주의, 혁신 거부 등
인구 감소 = 지속 성장 방향 설정해야
적은 인구로 높은 성과 내는 북유럽 국가
인구 변화 -> 고객 변화 -> 소비 변화 -> 시장 변화 -> 사업 변화
수축 사회
성장률 1% 미만 사회 진입
1990년대부터 5년마다 경제 성장률 1%씩 하락
1995년 경제성장률 5%
2030년 경제성장률 0.69% 예상
대책
상식 파괴, 혁신 지향이 전제된 총요소생산성 재구성
달라진 노동, 자본 보완
대체 요소 발굴, 투입
2003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출범하며 대책 세웠지만 20년 후 더 악화
고성장의 습관
1970년 102만명 출생
2023년 23만명 출생
1955~1975년생 베이비부머 세대
= 1,700만명
은퇴하면서 가족 해체, 노후 대비 홀로서기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 만들어야 한다
2부 자산시장이 재편된다
선진국 = 저성장, 저금리
인구 감소
= 노동 부족 + 소비 부족 = 저성장
= 20대는 결혼, 양육 과정 거부, 바로 은퇴 세대 진입
청년 세대 시장 진입 포기
청년의 빈곤 족쇄, 청년 차별, 미래 불안 대책 없으면 자산 시장 진입 포기
결혼, 출산, 내집 마련 포기
20년 후 출생 zero
청년이 내 집을 살까?
청년 관점 변화
1. 소유에서 사용
2. 미래보다 현실
대학 붕괴
인구는 사회의 거울
멈춰버린 신도시
원도심의 수직 도시
서울 주택 형태
1975년 단독 83%
2020년 아파트 59%
경기도는 아파트 71%
신도시
1세대 만에 단독 -> 아파트 변화
1세대 후에 아파트 -> 수직 고층 아파트
도쿄가 채택한 공공, 상업, 생활의 수직도시
확장 신도시 -> 압축 원도심화
2023년 도쿄역 근처 45층 미드타운 야에스
= 상업 + 초교 + 버스터미널 + 호텔 + 관공서 입주
서울은 왜 콤팩트시티에 주목할까?
역세권(교통) 중심
사회 보험의 변화
저부담, 고수급 -> 고부담, 저수급
= 가처분 소득 감소 -> 소비 악화
세금의 변화
소득세, 소비세 증세
투자의 변화
저금리로 부동산 대신 고수익, 위험성 투자
코인 등
연령대별 주식 투자
3040세대 투자 감소
6070세대 투자 증가
고령 세대가 위험 투자
노년, 4050세대는 자산 증식
2030세대는 자산 포기
2부 축소 시장의 진짜 고객들
1970년대생들이 온다
인구 = 고객 = 시장
1970년대생 = X세대, 44~54세, 900만명
생산력 부족, 재정 부족 매워줄 세대
연금 60->65세
은퇴 65->70세
돈 쓸 준비가 된 1970년대생
대학진학 66% 고학력 세대
본인 소비 성향 : 소비 경험 많음
자산 50대에 절정, 이후 감소
1970년대생은 신중년
늙음 진입보다 젊음 지속 욕구
중년 지갑이 열리는 키워드
(1) 추억 소환
(2) 자아 부활
(3) 희망 실현
고객 감소가 불러올 신질서를 장악하라
선진국 경제 구조
GDP 대비
서비스업 70~80%
GDP 3만불 돌파 이후 제조업 -> 서비스업 전환
한국은 수출 90%
수출 의존 -> 내수 강화
신자유주의 관점
“고용 = 비용”
인구 문제 최대 해법
= 일과 생활의 균형
but 낮음
기업이 해결해야 한다
내부 고객부터 챙겨라
직원 만족 -> 고객 만족 -> 이익
“HBR” 1998
직원 태도 긍정적으로 5 바뀌면
고객은 1.3 만족도 증가
0.5% 매출 증가
한국 경제 성장 원인
= 노동 파워
= 거대하고 똑똑하며 인건비도 싼 베이비부머 세대
= 한국형 인적 자원 구조는 끈임없는 노동 공급이 전제 : 졸업 후 100% 취업, 평생 직장
현재 한국 경제
= MZ 세대 저임금, 비정규직 -> 기업 유지 어려움 -> 신기술, 신제품 개발 지연, 사업 개선이나 전환 어려움 : 혁신 실패, 매너리즘 -> 기업 수명 단명
3부
도태될 것인가? 도약할 것인가?
인구는 줄어도 노인은 늘어난다
총량 감소와 노년 증가는 기회다
인구 적어도 잘 사는 나라 많다
일본 경제 성장에 발목 잡는 것은 노동력
외국인 노동자 2023년 300만명도 부족
2050년 600만명 계획
노동 부족 해결 법
1. 정년 연장
2. 로봇
3. 외노자
4. 출생률 향상
통계의 허점
2021년 고령 인구의 상대 빈곤률 39%
OECD 평균은 14%
전세계 평균은 15%
자본주의 체제 미국 평균은 23%
But 실제 60세 이상이 한국 자산의 절반 보유
X세대 신노인의 소비 시장
저가격, 고품질 -> 고품질, 고가격
서비스 + 내수 + 유니콘
인구 감소하면서 성장한 일본 10대 산업
가족 붕괴에서 읽는 비지니스 트렌드
베이비부머 세대
액티브, 스마트, 파워플
확대 소비 세대
일본 미쓰비시 그룹은 노년 창업, 노인 채용
늙음에서 성장으로
BTS -> 임영웅 인기
10대 인구 463만명
50대 인구 1,000만명
일본이 한국보다 안정적인 이유
1. 세계 500대 기업.
중국 136개, 미국 124개, 일본 47개, 한국 16개
2. 출산율
한국 0.65명. 일본 1.26명 : 25만명 vs 80만명
3. 기축통화 엔화
엔저임에도 기축 통화 안전 자산. 국부 유지
대한민국은 전세계의 롤모델
1. 전대미문의 경제 성장
2. 저출산 문제 해결
수출 대신 내수
제조업 대신 서비스
재벌 대신 유니콘
2022년 12월 US뉴스앤월드리포트(USNWR) 발표
세계 파워 국가 6위 한국
저출산 일본에서 성장한 10대 산업
- 육아
- 교육
- 공유
- 손해보험
- 소매
- 인재
- 반려동물
- 의약
- 간병
- 플랫폼
살아남는 비지니스 모델
ESG
친환경 경영
착한 기업 & 행복한 사회